
>>>신세계샷시 공식블로그 바로가기


용인방충망
아파트 주택 창문 베란다 현관문
미세먼지 방충망시공 교체비용
착한가격설치 친절상담
대한민국넘버원 신세계유리샤시!!
031-274-8289
미세먼지방충망 시공가격상담 용인 방충망 아파트 주택 창문 베란다 현관문 롤 미세먼지 방충망시공 교체비용 착한가격설치 친절상담 경기남부지역 상담환영 방충망 출장지역 : 용인 기흥구 기흥동 상하동 동백동 상갈동 하갈동 구갈동 신갈동 보라동 지곡동 구성동 수지구 죽전동 상현동 신봉동 성복동 남량장동 언남동 마북동 영덕동 서천동 고매동 공세동 처인구 역북동 삼가동 남동 유방동 해곡동 마평동 등 방충망 전문 방문설치업체
방충망이란?
공기의 유통을 위한 개구부(開口部)에서 곤충류나 쥐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치는 눈이 촘촘한 그물을 말하는데, 여기에는 페인트 칠한 철 ·황동 ·구리 ·스테인리스 ·사란(Saran) 등이 사용됩니다.
페인트 칠한 철 ·황동 ·구리 ·스테인리스 ·사란(Saran) 등이 사용합니다. 건물이 밀폐되어 있으면 공기가 오염되거나, 방안이 더위로 인해 찌는 듯하거나 결로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환기가 필요합니다. 한국의 기후풍토로 볼 때, 침실을 비롯해서 거실 ·다락 ·마루밑 등의 통풍환기가 특히 필요합니다. 또, 보일러나 난로를 땔 때 방에서는 연소용의 환기가 필요하게 됩니다. 이와 같은 목적의 개구부에는 그물창 이외에 무쌍창 ·루버(louver) ·격자문 등이 사용되는데, 이런 것에는 방충망을 병용하여야 합니다. 방충망을 치는 데는 그물창으로 만들어 붙였다 떼었습니다 할 수 있게 한 것과, 그물의 가장자리를 직접 붙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창호의 종류
창호는 건물에 달린 창과 문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창호는 크기와 형태가 비슷해 굳이 창과 문을 구분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용되는 기능상의 성격과 형태에 따라 부르는 명칭은 다양합니다.
먼저 창호는 짝수에 따라 외짝을 독창, 두 짝을 쌍창이라고 하였다. 쌍창 중에서 고식은 가운데 문설주가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영쌍창이라고 합니다. 위치에 따라서는 외벽에 설치되는 여닫이 덧문과 대청과 방 사이에 설치되는 들어걸개문을 분합이라고 하였습니다. 외벽에 설치되는 분합창호는 두 짝이 일반적이며 대청 앞에 설치되는 분합문은 네 짝 또는 여섯 짝이 보통입니다.
즉 분합은 대개 외벽에 설치되는 두 짝 이상의 창호로 개폐방식에 관계없습니다. 지금까지는 대청과 방 사이에 설치되는 네 짝 이상의 들어걸개문만을 분합이라고 하였으나 《영건의궤》를 토대로 연구한 결과 외벽에 설치하는 두 짝 이상의 여닫이 덧문도 분합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습니다. 다만 대청과 방 사이 분합은 가운데 광창을 달고 위아래는 벽지를 발라 빛을 차단하는 독특한 분합이 사용되는데 이 광창을 연창이라 쓰고 불발기창이라고 읽습니다. 따라서 연창이 있는 분합문이라고 하여 연창분합 또는 연창장지라고 쓰고 통상 불발기분합문이라고 부릅니다.
외벽에 다는 창은 보온을 위해 조선 후기 고급 집에서는 세 겹으로 달았습니다. 밖에서부터 쌍창 → 영창 → 흑창 → 갑창의 순서다. 쌍창은 덧문으로 두 짝 여닫이 분합이 일반적이었으며 영창은 두 짝 미닫이로 살림집에서는 보통 용자살을 사용하였습니다. 영창 안쪽에는 다시 두 짝 미닫이창을 다는데 이를 흑창이라고 합니다. 흑창은 보통 양쪽에 종이를 두껍게 바른 도듬문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흑창을 닫으면 실내가 컴컴해 낮에도 잠을 청할 수 있다. 삼중문은 궁궐에서 보이고 보통 살림집에서는 흑창 없이 쌍창과 영창 두 겹으로 만드는 것이 보통입니다.
여름에는 영창이나 흑창을 빼고 올이 성근 비단으로 만든 창을 끼워 방충창으로 사용하는데 창호지 대신 비단을 바른 창이라고 하여 사창이라고 부릅니다. 방 안에서는 영창이나 흑창이 양쪽으로 열려 들어갈 수 있는 두꺼비집을 만들어 주는데 이를 두껍닫이 또는 갑창이라고 부른다. 두껍닫이는 창이라는 이름이 붙어있지만 실상은 고정되어 있는 가벽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나무로 격자형 틀을 만들어 벽지 등 두꺼운 종이를 발라 만드는데 방 안쪽에서는 서화 등을 붙여 장식하기도 합니다.
장지는 주로 방과 방 사이에 다는 두 짝 혹은 네 짝의 미서기문을 가리킵니다. 특별하게는 궁궐 편전에서 임금님이 앉는 뒤에 기둥 사이를 건너질러 가벽을 설치하기도 하는데 기둥 전체를 건너지르면 한 칸 장지, 그 반이면 반 칸 장지 등으로 불렀습니다. 또 영창이나 흑창 등의 문틀은 방안으로 튀어나오도록 설치되게 마련인데 문상방 위와 문하방 아래를 문틀과 면이 맞도록 장지로 틀을 만들어대고 벽지를 발라 마감하기도 합니다.
또 기능적으로 출입문 위쪽에 높이가 낮고 옆으로 긴 창호를 다는 경우가 있습니다. 퇴칸이 있고 고주칸에 출입문이 달리는 경우에 많습니다. 그것은 출입문을 기둥에 맞춰 너무 높게 만들면 실용적이지 못하기 때문이기도 하며 다락이 만들어질 경우 다락의 환기나 통풍 및 일조를 위해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이를 옆으로 폭이 넓은 창이라고 하여 광창이라고 합니다. 광창은 필요에 따라 일조만을 위해 열리지 않는 붙박이로 만들어지기도 하고 열 수 있는 벼락닫이나 여러 짝으로 만들어 미서기로 하기도 한다. 광창은 또 바라지창이라고도 하며 사창, 교 등으로 쓰기도 합니다. 바라지창과 비슷한 높이로 주로 외행랑채의 바깥쪽에 중방 위에 높게 달리는 창으로 위에 돌쩌귀가 있어서 밑에서 밀어 열 수 있도록 한 고창을 걸창 또는 들창, 벼락닫이창이라고 합니다.
특수한 목적으로 쓰이는 창 중에는 부엌 등의 연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벽에 구멍을 뚫고 날짐승이 들어오지 못하게 살대를 엮고 창호지를 바르지도 않고 열리지도 않는 환기창이 있다. 이를 봉창이라고 한다. 또 한국인의 해학과 기지를 볼 수 있는 앙증스런 창에는 눈꼽째기창이 있다. 그야말로 눈꼽만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겨울에는 창호 전체를 열 경우 열손실이 많다. 그래서 창이나 문 안에 다시 열 수 있는 작은 창을 내거나 아니면 창호 옆 벽면에 밖의 동태만 살필 수 있는 작은 창을 내는데 이를 눈꼽째기창이라고 한다.
창호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말하는데, 그 사용재료에 따라 목재 창호와 금속재 창호로 분류되나 최근에는 플라스틱에 의한 문이나 창틀 등도 만들어지고 있다.
실내공간 그 자체를 서로 구분하기 위해 설치하는 장지나 맹장지 등과 같이 개폐 및 탈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가동성 공작물을 말하기도 한다. 창호를 끼워넣는 틀을 창호틀이라고 한다. 외벽개구부에서의 창호의 기능은 외벽의 그것과 변함없고 외부로부터의 기상변화 또는 외적의 침입으로부터 실내를 지키는 것이며, 외부의 소음이나 내부의 빛·소리의 차단이다. 이들은 적어도 창에 있어서는 보통 통풍이나 환기 또는 채광을 하며, 또한 창을 닫음으로써 창의 안팎을 차단한다고 하는 전혀 다른 두 기능을 가지고 있다.
출입구 등의 창이나 문으로 사람이나 물체가 통과하지만 반대로 폐쇄할 때는 소리나 바람 또는 비를 막는 성능을 갖도록 상반되는 두 기능을 서로 유지해야 한다. 그 제작에 있어서는 기밀성을 얻기란 어려운 일이다. 또 개구부에 설치된 창이나 문은 외벽이 내화구조로 되어 있으면 창호도 역시 내화성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창호는 사용재료에 따라 목재 창호와 금속재 창호로 분류되며, 종류도 다양하지만 최근에는 플라스틱에 의한 문이나 창틀 등도 만들어지고 있다. 또 양식에 따라 동양식과 서양식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